할빈 제9회 동계아시안게임의 경기가 시작된 지 7일째 되였다. 경기장에서 멋진 경기가 이루어지는 한편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온 선수들이 할빈에서 잘 먹는지, 편안하게 지내는지, 참가 체험은 어떠한지 역시 주목을 받고 있다. 2월 9일에 열린 할빈 동계아시안게임 정례 기자회견에서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운동회 서비스부 부부장이며 보도대변인 진춘휘(陈春晖)가 이번 동계아시안게임의 서비스업무에 대해 소개했다.
진춘휘는 이번 동계아시안게임에 아시아 34개 국가와 지역에서 온 1270여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참가 국가와 지역 및 선수 수가 가장 많은 대회가 되였다고 소개했다. 이번 대회를 잘 개최하기 위하여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는 엄격한 업무표준을 제정하고 완전한 서비스 라인을 계획하였으며 식사, 숙식, 출행, 의료, 구매 등 면에서 알심들여 설계하고 배치하였다. 선수촌 운영팀은 '집'의 기능을 보완하고 '집'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집'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운동회 서비스부 부부장이며 보도대변인 진춘휘.
음식 방면에서 료리 식재료는 모두 엄격한 선발을 거쳐 식품안전기준에 완전히 부합된다. 검소하게 경기를 치르는 리념을 관철하고 식재료의 랑비를 피면하기 위하여 신청자 수에 근거하여 선수식당에 필요한 식재료를 추산하고 목적있게 구매하였다. 동시에 경기 일정에 따라 당일에 호텔에서 실제로 접대한 인원수에 따라 료리를 준비하였다. '2개 경기구역, 1개 표준'의 원칙에 따라 선수접대호텔은 매일 20시간 중단없이 급식을 제공하고 식당은 부동한 풍미의 식사구역을 설치했으며 매 료리마다 중영문 메뉴 카드를 갖추고 영양성분, 알레르기원 정보 등을 상세하게 표시하여 선수들이 안전하게 먹을수 있도록 했다.
숙박 방면에서 경기시 할빈, 야부리 2개 경기구역에서 도합 5개 접대호텔을 사용하여 34개 나라/지역 대표단 선수들에게 숙박 서비스를 제공했다. 선수의 국가별, 참가 종목, 기능 간의 수요에 따라 과학적으로 방을 분배하였다. 깨끗한 방을 제공하는 동시에 모든 선수접대 호텔은 입주 인수에 따라 일정한 비례의 셀프 세탁건조설비를 갖추었다. 일부 선수들이 중국의 전통문화에 대해 매우 흥미를 느끼고 있음을 알고 접대호텔내에 중국 무형문화재 전시 및 상호작용 활동을 설치하였다. 호텔 로비에는 선수들에게 제빙기를 설치하고 비식용 얼음을 제공해 운동의 피로를 풀 수 있게 했다. 이와 동시에 겨울철 경기의 특점에 따라 야부리경기구역 선수접대 호텔은 선수들을 위해 신발 건조기, 왁스실 등 특색서비스를 설치하였다.
발표회 현장.
교통 방면에서 경기시 도합 1090대의 대, 중, 소형 차량을 보장차량으로 투입하고 82개의 교통운행보장 선로를 내왔으며 매일 아침 7시부터 밤 12시까지 교통차량 서비스를 제공하여 참가자의 정상적인 출행을 보장하였다. 회의에 참가하는 인원들이 한 경기구역에서 다른 경기구역으로 편리하게 이동하도록 할빈 경기구역은 아침 6시 39분~저녁 6시 35분까지, 야부리 경기구역은 아침 8시 14분~밤 9시 16분까지 5회의 기차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차역 밖에 교통 환승 차량을 설치하여 두 경기구역을 이동하면서 경기에 참가하거나 구경하는데 편리를 제공하였다.
의료 방면에서 화기호텔, 북대황호텔, 아왕스 3개 접대호텔에 종합진찰부를 설치하였는데 내과, 외과, 응급의학, 재활의학, 중의, 의학검사 등 13개 림상과실과 부대적인 검사, 방사선, 초음파, 심전도, 약국 등 의료기술과실이 있다. 선수가 경기후 근육이 쉽게 손상되는 등 상황을 고려하여 종합진찰실에 또 중의 지압, 안마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38명의 의료진을 배치하여 선수에게 매일 14시간의 의료진찰, 24시간의 긴급 의료서비스와 지정병원 이송 서비스를 제공하여 선수들이 가장 빠른 시간내에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받도록 하였다.
이밖에 선수촌 접대호텔 내에는 또 상업서비스 구역이 설치되였으며 그속에는 금융서비스, 주제우체국, 특허상점 등이 있다.
출처: 흑룡강일보
편역: 리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