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고향에는
벽파가 출렁이는
푸른 보석같은
흥개호가 있다
반고가 천지를 개벽하고
그 몸뚱이가 오악으로 변하고
그 피가 굽이치는 하천으로 변할 때
함께 태여난 흥개호
천만겁 지나긴 세월 내려오며
청신하고 수려하고 결백한
대자연의 정기로 자라고
귀부(鬼斧)로 다듬고 다듬은
취옥(翠玉)같은 아릿다운 몸매로
얼마나 많은
유객(游客)들의 발길을 끌었고
얼마나 많은
시객(诗客)들의 심금을 울렸던가!
바다같이 넓고 넓은 흥개호
수심은 옅고 옅은데
호수엔 작은 섬 하나 없이
일색으로 파도 넘실거리는 수면 뿐
새벽
동쪽이 붉어질 때면
호수의 하늘도
구름도 붉어지고
호수의 물도 붉어진다
고기배들은
노을에 젖은 물결을 가르며
서서히 호심으로 사라진다
백리 모래언덕
20만년의 변천을 거치고 거치며
대자연의 섭리에 따라
설계되고 만들어진
백리 모래언덕
신기한 푸른 보석띠가 되여
흥개호를 남북으로 갈라놓았다
대흥개호와 소흥개호로
한몸이 갈라져 생긴 형제이건만
천지조화로
성격은 하늘 땅 차이로
그렇게도 다르고 다르다
대흥개호의 파도
솔, 솔
얼굴을 부드럽게 어루쓰는
화풍이 불어온다
호수는 간지러워
행복에 겨워 웃는다
쏟아져 내리는 밝은 해살을
수많은 옥구슬로 부시고 부시여
하늘하늘 웃는 수면우에
가득가득 뿌려 놓는다
반짝반짝
반짝반짝
호수가 하나 되여
해맑게 웃는다
쏠, 쏠
머리카락 날리는
썰렁바람이 불어오면
호수는 웃음을 거두고
설레인다
거대한 몸뚱이를 움씰움씰
불안에 모대기며
거대한 물언덕을 만든다
깊은 골짜기를 만든다
물언덕은
높아졌다 낮아졌다를 반복하고
갈매기는
끼륵끼륵 물언덕우로 꼰진다
윙, 윙
모자를 날리는
세찬 바람이 불어오면
호수는 얼굴이 흐려지고
갈린 소리로 표호한다
집채같은 물갈기를 날리며
파도는 아귀를 벌리고
물방석을 굴리며
기슭을 향해
아우성치며 돌진한다
기슭에 와서는
온 힘을 다 해
몸을 힘껏 내친다
거대한 파도는
형체도 없이
산산히 부서진다
그리고는 언제 그랬더냐 하며
맑은 물이 되여
호수가 모래톱을 부드럽게 어루쓸며
스-르-르-
맑은 소리를 내며 물러간다
뒤를 이어
또 다른 파도마루가
커다란 아귀를 벌리고 달려온다
소흥개호
소흥개호
언제나 수려하고 부드럽고 고요하다
호변의 쪽배가 그어놓은 수파는
저 멀리 저 멀리로
하늘하늘 가고 있다
호심으로 모래언덕 숲 속으로 하늘가로
물속에 수림도 있고
하늘도 있고
구름도 있다
물 속의 고기들도
숲 속에서 놀아보려
구름타고 하늘을 날아보려
수면우로 뛰여오른다
흥개호의 무송
"황산에 갔다와선
다시 산을 보지 않고
룡왕묘에 갔다와선
다시 무송을 보지 않는다"
흥개호의 무송은
더없이 아름답고 성결하다
무송은
원래는 망망 호수의 옥구슬이였다
땅과 호수가 땅땅 얼어터지는
령하 40℃의 혹한에
룡구의 명수구에서
가벼운 물안개로 변신해
바람타고 사뿐히 날아와
나무가지우에서
풀잎우에서
반짝이는 무송으로 현신했다
존비귀천을 가리지 않고
티없이 깨끗한 몸으로
포근히 감싸준다
가장 순결한 꽃을 수놓는다
바람이 잠자는
청명한 아침이면
무송은 해살을 받아
반짝이며 더욱 눈부시다
무송의 사랑을 담뿍 안은
나무와 풀들은
하얀 웨딩드레스를 입고
조용히 수줍음을 머금고
거울같은 맑은 물에
자기의 아릿다운 모습을 비추며
하얀 미소를 짓는다
철새의 락원
룡왕묘의 령롱한
무송도 잊을 수 없지만
3,4월 소택지와 호수가
두터운 눈에 덮혀
깊이 잠들고 있을 때
푸른 물결 찰랑이는
룡구의 명수구에서
수천수만마리의 철새들이
함께 하늘을 날고
함께 물에서 노래하는 장관은
사람들을 더욱 경탄케 한다
룡구는 매년 봄
남쪽에서 북쪽으로 날아가는
철새들이 휴식하는“려관”이다
새벽
"려관"에서 휴식하고 려독을 푼
철새들이 대이동을 시작한다
한무리 백조가 "ㅡ"자 형으로
대렬을 지어 끼륵끼륵 울면서
저 멀리 북쪽으로 날아간다
또 한무리 백조가
호면에서 솟아오른다
힌 날개로 수면을 힘차게 치며
하늘로 솟는다
정오가 되면
기러기 오리들의 울음소리가 요란하다
떠나야 할 때가 된 것이다
코기러기를 따라
몇십마리 혹은 백여마리가
동시에 날아오르며
"ㅡ"자 혹은 "人"자형 대렬을 지어
일사분란 정연하게
북쪽을 향해 날아간다
다 떠나고 나면
여기에서 서식할 철새들만 남아
한가로히 물에 떠서
새 손님들이 오기를 기다린다
살구꽃 십리
5월 중순
신개류 이동 십리
모래언덕은
흰색 분홍색 살구꽃으로
곱게 단장한다
수령이 수백년이나 되는
아름드리 살구나무
꽃우산을 펼쳐들고
하늘을 찌르며
십리에 뻗어있다
한그루의 꽃나무가
하나의 꽃동산이다
백설같은 흰 꽃
노을같은 붉은 꽃
향기 그윽한 꽃동산에서
벌과 나비들이
이 꽃에서 저 꽃으로
저 나무에서 이 나무로
분주히 넘나든다
꽃나무 아래에 서서
남쪽을 바라보니
대흥개호엔
물연기를 날리며
파도가 출렁이고
북쪽을 바라보니
소흥개호의 물
맑고 고요해 거울같다
미인 단명이라 할가
눈부시던 꽃도
얼마 못가서 진다
훈풍이 불어오고
봄비가 연연할 때
꽃잎은 꽃비가 되여
모래언덕을 포근히 덮는다
백릉하와 백릉교
흥개호로 흘러드는 강은26갈래
그러나 흘러나가는 출구는 하나-
송아찰하(松阿察河)
흥개호의 서북방향엔
흥개호로 흘러드는 작디작은 강-
변계하- 백릉하가 있다
백릉하의 길이는17㎞
제일 좁은 곳은 너비0.6m
제일 옅은 곳은0.5m
량안엔 관목, 교목들이 우거지고
초목들이 엉키여 수면을 덮고 있다
백릉하- 흥개호의 입구와
송아찰하- 흥개호의 출구를
곧게 이어 놓으면
호수면의 중-러 국경선이다
백릉하-
작디작은 강이언만
중화민족 풍운의 력사를
품고 흐른다
백릉하에는
세계 국계 교량사에서
제일 작은 다리가 있다
백릉교-
중국측 다리의 길이는
10m도 안되고
너비는1m도 안되는
란간이 있는 철제다리고
러시아측의 다리는
란간이 없는 석판다리
두 다리 사이를10㎝ 띄여 놓아
중-러 국계로 삼았다
백릉교는 세계 국계교량가족중
"보기드문 다리"로 인증 받아
"세계 기니스 대전"에
"동방기교"로 등재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