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8일, 흑룡강성농업농촌청의 농업상황 관리에 따르면 5월 8일 기준으로 전성적으로 7,153만무 밭에 파종을 완료했다. 그 중 밭 작물은 6,939.8만무이고 4,671.1만무 논에 물을 댔으며 7만 8천무 논에 모내기를 완료했다.
오상시 상보향 남강촌 성안가정농장 육모하우스
올해 흑룡강성 여러 지역에서는 벼 모내기단계에 새로운 기술과 방법을 적용했다. 5월 8일, 화남현 염가진(闫家镇) 화흥촌(桦兴村)의 논에서 화남현 금곡리(金谷利)벼재배전업합작사 리사장 좌련쌍(左连双)은 사원들과 함께 첫날 벼 모내기작업을 완료했다. 최근 몇년동안 마을사람들은 '두생미(豆生米)' 산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화남현 금곡리벼재배전업합작사 벼 육모하우스
”올해는 기온이 낮아 벼모의 성장이 다소 느립니다. 육모단계에서는 껍질 등으로 만든 과일산(果酸)을 사용하여 벼모의 내병성을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친환경적인 재배방식은 화학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줄일 뿐만 아니라 토지의 생태균형을 보호하여 벼 성장에 록색 기초를 튼튼히 했습니다.” 좌련쌍은 ‘두생미’의 유래는 벼 모내기 전에 콩깨묵비료(豆饼肥)를 논에 고르게 살포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전통 발효기술로 만든 콩깨묵비료는 질소, 린, 칼륨 등 미량 원소가 풍부하여 벼 생장에 충분한 양분을 제공한다. 2024년 이러한 '합작사+농가+과학기술' 모델로 인해 화흥촌의 논은 무당 평균 수입이 580원 증가했고 촌 집체는 년 평균 3만여원, 합작사 사원은 년 평균 수입이 2.3만원 증가했다.
겹판 암실 육모
오상시 상보향(常堡乡) 남강촌(南岗村) 성안(星安)가정농장 책임자는 “올해 41동 벼 육모 비닐하우스 내에 전부 자동 스프링클러시스템(喷淋系统) 과 자동 제어 롤스크린기(卷帘器)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비닐하우스 내의 온도와 습도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며 스프링클러, 산 조절, 질병 예방, 제초 등 표준화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성안가정농장은 암실 육모방법을 적용하여 파종한 모를 암실에 겹쳐서 놓고 온도를 30℃에서 32℃로 조절하며 습도를 약 60%로 조절한다. 48시간에서 60시간이 지나면 모가 립침기(立针期)에 도달하여 육모효률이 크게 향상된다.
무판 간편 환경 보호 육모기술
이전에 개최된 전성 춘경생산 및 주요 식량작물의 대규모 단위면적당 수확량 향상 업무회의 현장 시연단계에서 '모판이 없이 가볍고 간편하며 친환경적인 육모기술’이 많은 방문객들의 시선을 끌었다. 흑룡강성농업과학원 바이오기술연구소의 고급농예사 손중의(孙中义)는 “이 기술은 바이오매스 섬유 육모필름(育秧膜)을 사용하여 플라스틱 모판을 친환경적으로 대체하고 필름 깔기, 복토(覆土), 파종, 흙 덮기 등 여러 단계의 작업을 한번에 완료하며 우수한 기술과 방법을 갖춘 농기계와 농예가 결합된 벼 육모 전과정 기계화 간편 친환경 재배모델을 구축하여 간편화, 건실한 모, 비용 절감, 효률성 증대, 저탄소 목표를 달성했다”고 소개했다. 현재 이 기술은 성내 주요 쌀 생산지역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루적 보급면적은 500만무에 달한다.
출처:흑룡강일보
편역:남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