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9일 10시, 국무원 보도판공실은 할빈 2025년 제9회 동계아시안게임 뉴스발표회를 열었다.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부주석, 중국 올림픽위원회 부주석 주진강(周进强),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부주석, 흑룡강성인민정부 부성장 한성건,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부주석 겸 비서장, 할빈시인민정부 시장 왕합생,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부비서장, 할빈시인민정부 부시장 장해화(张海华)가 각기 할빈 동계아시안게임 준비상황을 소개하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했다.
발표회 현장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부주석, 중국올림픽위원회 부주석 주진강은 "습근평 총서기와 당중앙, 국무원의 강력한 령도아래 2022년 북경 동계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였고 중국의 빙성스포츠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3억명의 빙설운동 참여'가 현실화됐다"고 소개했다. 할빈 동계아시안게임은 북경 2022년 동계올림픽에 이어 중국이 개최하는 또 하나의 빙설 스포츠축제이다.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부주석, 중국 올림픽위원회 부주석 주진강
포스트동계올림픽시기 중국의 빙설스포츠는 지속적으로 달아오르고 있다. 그것은 주로 참가자 범위가 크고 광범위한 장소, 시설, 경기 활동이 많으며 복사 구동역할이 강한데서 나타난다. 북경동계올림픽에 힘입어 빙설스포츠는 소수에서 대중화로, 특히 청소년들의 빙설스포츠 참여가 크게 향상되여 빙설스포츠 홍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빙설장시설은 계절과 지역의 한계를 극복하고 품질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류형이 더 다양하여 전국과 사계절 배치를 포괄하는 좋은 추세를 형성했다.
2023-2024년 빙설시즌 전국적으로 82개 빙설대회를 개최했고 21개 국제 대회를 중국에서 개최했다. 제10회 전국 대중 빙설시즌기간 2,000여개의 빙설대회가 여러 곳에서 개최되여 새로운 빙설붐을 일으켰다. 10월 25일, 국무원상무회의는 빙설스포츠의 고품질 발전으로 빙설경제의 활력을 자극하는 관련 조치를 마련하여 뜨거운 반응을 일으켰고 이는 반드시 빙설 소비잠재력을 더욱 방출하고 빙설경제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할 것이다. 빙설스포츠의 '남부 전개. 서부 확장, 동부 진출(南展西扩东进)' 전략이 지속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빙설문화, 빙설장비, 빙설관광산업이 왕성하게 발전하여 스포츠강국 건설에 새로운 기여를 할 것이다.
국가대표팀의 훈련을 고품질로 추진한다. 겨울종목 국가대표팀의 밀라노(米兰) 동계올림픽 주기훈련 준비로 말하면 할빈 동계아시안게임은 밀라노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진행하는 중요한 훈련이며 인재 발굴, 팀 훈련, 대회 준비효과 검증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는 경기를 훌륭하게 치리고 경기에 참가하여 빛을 발하게 하기 위해 170여명의 선수를 선발하여 64개 세부 종목의 모든 대회에 참가시켜 스포츠성적과 정신문명 두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훈련 준비 측면에서 체육총국은 항상 사상 도덕과 작풍 건설을 일상 관리에 융합하고 '3종 1대(三从一大)'(어려움, 엄격함, 실전에서 출발, 대운동량 과학적 훈련) 원칙을 준비의 전반 과정에 적용했다. 신형 국가적 메커니즘우세를 충분히 발휘하고 총국과 지방이 공동으로 다수의 동계종목 국가대표팀을 구성하여 대회 준비의 전반적인 효률성을 효과적으로 향상했다. 선수 선발은 개방성, 공평성, 공정성을 견지하고 일부 종목의 같은기간 밀라노 동계올림픽 예선전을 총괄하며 선발방법을 과학적으로 작성하고 전과정 사회감독을 받아 최적의 후보, 최강 진용으로 출전한다. 경기 풍격 규률과 반흥분제 측면에서 마지노선 사고를 강화하고 잠재적인 위험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며 맞춤형 조치를 취하여 투명한 경기를 치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회 조직업무를 고표준으로 수행한다. 록색, 공유, 개방, 청렴'의 대회 개최리념과 '간결하고 안전하며 멋진' 대회 개최 요구를 대회 개최의 전과정에 구현한다. 현재 경기장 배치가 결정되였는바 할빈 5개 경기장은 빙상 종목, 야부리 8개 경기장은 설상 종목경기를 주관하며 경기장팀은 이미 구성되였고 숙련된 전문 간부를 선발하여 경기장 운영에 참여시켜 관련업무을 계획대로 추진한다. 조직위원회는 올해 9월부터 명년 1월까지 경기장 운영, 기자재 시설, 속지 보장, 지휘 통제 등 14개 테스트와 훈련을 통해 경험을 쌓고 있다.
현재까지 34개 국가와 지역의 1500여명 운동선수들이 경기 참가를 신청했다.
출처: 흑룡강일보
편역: 남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