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려행' 열기가 뜨거워지면서 북경 수수가에서 이우 국제비즈니스성, 해남 면세점에서 심천 화강북에 이르기까지 쇼핑 목적으로 중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갈수록 늘고 있다.
중국 국가이민관리국 통계에 따르면 올 로동절 련휴 기간 외국인 출입경 수는 111만5천 명(연인원, 이하 동일)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1% 증가했다. 그중 상해가 외국인 관광객에게 인기 만점이였다. 관련 통계를 보면 지난 4월 30일~5월 4일 동안 역외 관광객이 상해에서 4억5500만원을 소비했다. 이는 211.6% 급증한 수치다.
심지어 일부 해외 소비자는 '구매 대행팀'을 꾸려 인기 상품을 구매할 목적으로 중국에 오기도 했다.
실제로 지난해 10개 시범 지역에서 구매 즉시 환급해주는 '택스리펀(Tax Refund)' 규모가 전년보다 23배 증가했다.
'중국 제조'에서 '중국 스마트 제조'로 외국인 관광객의 쇼핑 목록에도 변화가 일었다.
한 외국인 관광객은 예전에는 작은 인형이나 저렴한 기념 티셔츠를 샀다면 이제는 특색 있는 실크제품, 도자기는 물론 스마트 제품까지 필수 아이템이 됐다고 전했다.
결제 플랫폼 데이터에서도 외국인 관광객의 중국 내 소비에서 현지 대형 마트, 문화창의, 특색 음식 등 비중이 현저히 상승했다.
그렇다면 중국 상품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무엇일까? 실속과 편리함이 외국인 쇼핑 관광객 유치의 최대 리유로 꼽힌다.
실제로 무석의 한 쇼핑몰 재무 담당자는 환급 세률 11%, 수수료 2%를 적용하면 1만원 상품 구매 시 900원을 절약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명품, 고급 전자제품 등 상품 구매 고객에게는 아주 매력적인 혜택"이라며 "이는 재소비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무비자 정책 대상 국가가 점차 확대되면서 '중국려행'이 '중국쇼핑'으로 전환되고 있다.
국가이민관리국이 최근 발표한 통계를 보면 240시간 무비자 경유 정책이 시행된 이후 중국 전역으로 입경한 외국인이 전년 동기 대비 40.2% 증가했다. 그중 무비자 입경 관광객 비중이 71.3%에 달한다. 심지어 린접 국가인 한국의 젊은 층 사이에선 금요일 저녁 퇴근 후 중국으로 건너가 쇼핑하고 돌아오는 관광 방식이 트렌드가 되고 있다.
중국 상무부 등 부서도 일련의 편리화 조치를 내놓았다. 우선 택스리펀의 최소 금액 기준이 200원으로 하향 조정됐다. 최대 현금 환급 규모는 2만원으로 상향됐다. 또 역외 관광객이 많이 찾는 지역에는 택스리펀 시행 매장을 늘리고 택스리펀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아울러 해외 카드 사용이 가능한 POS기 보급률이 높아지고 알리페이, 위챗 등 모바일 결제 시스템에서 해외 카드나 해외 페이 련동이 확대됐다. 북경, 상해, 심천 등 지역에서는 택스리펀 다국어 가이드와 전자 지도를 제공해 외국인 관광객의 편의를 도왔다.
/신화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