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년봉 '60만원에서 80만원'
진입장벽 높은 분야에 집중돼
유치방법, 부지런한 탐색 필요최근 강서, 절강, 중경, 감숙 등 여러 지역에서 사회를 대상으로 고용제 공무원을 채용했는데 일부 직종 년봉이 60만~80만원에 달해 광범위한 주목을 받았다.
공무원, 고액 급여, 이 두 어휘는 관심을 끌지 않을 수 없다. 사실 고용제 공무원은 새로운 사물이 아니다. 우리 나라 공무원법은 공무원 직급에 대해 위임제와 고용제를 실시한다고 명확히 규정하였다. 위임, 고용의 주요한 차이는 고용제는 계약형식으로 임용하고 임용기한이 명확하며 전문성이 강한 직위와 보조적인 직위를 대상한다는 점이다. 일찍 2007년 상해와 심천에서 이미 먼저 시범적으로 실시했고 10여년래 각지에서 많은 탐색을 하였다. 이는 틀에 얽매이지 않고 인재를 등용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좀 더 명확히 말하자면 인재갈증을 해소하고 발전의 어려움을 타파하며 초빙제를 목표로 부족한 인재를 영입하고 공무원 대오의 전문화 수준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우리에게 낯익은 얼굴이 왜 다시 주목을 끌고 있는가. 론난의 배후에는 대중 마음속의 여러가지 우려가 반영되여있다.
첫째, 봉급이 왜 이렇게 높은가? 관리와 재부는 두갈래 길이다. 흔히 공무원은 높은 봉급과 무관하다. 특히 빠듯한 재정때문에 여러 지역 공무원들의 급여가 줄고 있는 가운데 '년봉 60만원에서 80만원'은 매우 눈에 띈다. 하지만 각지의 공고를 살펴보면 초빙대상은 대다수가 신에너지, 첨단제조, 디지털경제 등 전문성이 강하고 진입장벽이 높은 분야에 집중돼있다. 시장화 기준으로 볼 때 이런 인재의 몸값은 비싸다. 급여면에서 매력이 없으면 적극성을 동원하기 어렵다. 그들이 계약대로 역할을 발휘할 수만 있다면 이 돈은 가치가 있다.
둘째, 어떻게 초빙하는가? 공무원 래원의 중요한 보충으로서 '고용제'는 당연히 부족할지언정 함부로 임용하지 않고 엄격하게 규제를 해야 한다. 어떤 일자리를 고임금 고용제로 만들어야 하는지는 지역 실정에 맞게 해야 한다. 례를 들어 산업발전의 병목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산업체인 선도단위, 중점 업종 분야의 부서를 광범위하게 동원하여 일자리에 대한 수요를 보고하도록 하며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일자리를 설치하도록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사람들이 업무에 적합한지 여부를 알 수 있을가? 엄격히 절차대로 채용하고 각종 조건은 모두 부합시켰는데 기대에 못 미치면 어떻게 하는가? 때문에 시용기간을 정해놓고 지켜보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셋째, 역할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가? 관건은 해당 인재를 어떻게 쓰느냐에 있다. 상대적으로 특수한 공무원들이 실력을 발휘하도록 하려면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이를테면 업무평가를 세분화하여 기업 사고방식, 프로젝트 사고방식으로 직책과 임무를 설정하고 일자리마다 제도(一岗一策. 일회성 평가를 피면하는 제도)를 정해 정확하고 실제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격려를 강화하는 것이 전형적인 례이다. 고차원의 인재를 유치함에 있어서 단지 급여만으로는 안되며 공간과 플랫폼을 줘야 한다. 또 관리방법을 전문 제정할 필요가 있다. 례를 들어 해당 인재는 일상업무와 관련해 직접 임용단위의 주요 지도자에게 보고하고 성, 시 조직부문 상시화 소통 기제를 세우고 임용단위가 전문팀을 구성하도록 유도하고 인재의 당위원회의 회의 렬석을 허락하며 중대결책의 연구에 참여할 자격을 주어 역할을 제대로 발휘하도록 한다.
'시장기제'로 유능한 인재를 영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전문화 간부의 부족함에 대한 우려의 반영이기도 하다. 현재 일부 지방의 공무원대오는 전반적으로 학력이 매우 높지만 진정으로 발전수요에 부합되는 전문화 간부는 여전히 적다. 어떻게 부족한 인재를 정확하게 모집하고 전문화 간부를 선발배치하며 국유기업, 대학교, 과학연구원 등 우수 인재를 어떻게 공무원대오 '록색통로'에 유치하느냐와 관해서는 여전히 발빠른 탐색이 필요하다.
출처: 신화넷
편역: 마국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