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 '락타대'가 있었다면 지금은 '강철락타대' 시대이다. 중국과 중앙아시아, 유럽을 잇는 화물렬차가 꾸준히 운행되며 성과를 내고 있다.
2011년 처음 개통된 이후 현재까지 6만 5천편이 운행된 중국-유럽 화물렬차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강철락타대'로 불리고 있다. 지난해 운행된 중국-유럽 화물렬차는 만 6천편으로 이를 통해 160만톤의 화물이 운송됐다.
중국―유럽 화물렬차가 지난해 7월 29일 안휘성 합비북역 물류기지에서 웽그리아 부다페스트를 향해 출발하고 있는 모습이다(드론 사진). /신화사
그중 중앙아시아는 아시아와 유럽 대륙이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으며 2천여년전 장건(张骞)이 서역을 다녀온 후부터 실크로드의 중요한 교통 중추가 됐다.
중국-유럽 화물렬차를 비롯해 중국-키르키즈스탄-우즈베키스탄 도로, 중국-타쥐키스탄-우즈베키스탄 도로 등 인프라 건설과 지역 련계 교통망 건설을 통해 중앙아시아는 중국을 중동·유럽 지역과 련결시키는 통로이자 동서양 경제를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로 점점 더 많은 중앙아시아 국가의 도시가 중국-유럽 화물렬차의 중간역이자 종착역이 되고 있다.
올 1월-3월, 절강성 이오에서 발차된 '의신유'(의오-신강-유럽) 중국-유럽 화물렬차의 경우, 출발 운행 편수와 화물 발송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중앙아시아 5개 국이다. 운송 상품도 초기 소상품에서 현재 자동차 부품, 기계 설비, 건재 등으로 확대됐다.
배욱동 의오시시장발전위원회 부주임은 "중국-유럽 화물렬차는 이미 대형 물류 기업의 필수 선택 요소가 됐다"면서 "철도는 항공·해운과 더불어 국제 물류의 공급망을 보장하는 한 부분이 됐다"고 말했다.
지난 2020년 6월 5일 방역물자를 실은 ‘의신유’ 중국―유럽 화물렬차(의오―마드리드)가 절강성 이오서역에서 출발해 스페인 수도 마드리드로 향하고 있다. /신화사
최근 수년간 중국과 중앙아시아 국가는 정치적 상호 신뢰가 나날이 깊어지고 실무 협력의 질이 향상되고 국제 협력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유럽 화물렬차의 복합운송 발전이 가속화되고 국제 련계운송 교통망이 점차 완비되면서 유라시아대륙 화물운송을 이어주는 교통 인프라의 가시적 성과가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지난해 '수교 30주년에 관한 중국과 중앙아시아 5개 국 지도자의 공동 성명'과 "'중국+중앙아시아 5개 국' 호련호통 협력 심화에 관한 창의"가 발표됐다. 구체적으로 화물운송이 원활히 진행돼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이는 중앙아시아가 유라시아대륙 교통 중추로서의 중요한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해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중국-유럽 화물렬차는 전천후로 운영되며 대규모 운송, 친환경·저탄소 륙상 운송의 새로운 통로를 구축했다. 핵심 중추로서 중앙아시아의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중앙아시아 국경을 넘나드는 중국-유럽 화물렬차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1년 카자흐스탄을 통과한 중국-유럽 화물렬차 수는 전년 대비 24% 늘었다.
지난 2021년 5월 27일 중국―유럽 화물렬차(중앙아시아)가 신강 아라산통상구내에 정차해있는 모습(드론 사진). /신화사
한편 중국은 중앙아시아 5개 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이자 투자 파트너이다. 지난해 중국과 중앙아시아 5개 국의 무역액은 702억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중국-중앙아시아 정상회의가 곧 개최된다. 주최지인 섬서성 서안시는 고대 실크로드가 시작된 곳이다. 리자국 중국국제문제연구원 유라시아연구소 소장은 이 정상회의는 각측이 리익 접합점에 대해 인식을 함께 하고 국제 철도의 장점을 보다 키워 중국과 중앙아시아 국가 교통·물류 협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신화사